티스토리 뷰

생활정보

2024년 4대보험요율, 궁금증 Q&A

유쾌뭉치 2024. 1. 3. 00:15

목차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2024년 4대보험요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말합니다. 이 4대보험은 국민의 기본적인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질병이나 노령, 실업, 산업재해 등의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습니다.

    2024년 4대보험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험종류 | 보험료율 | |---|---|---| | 국민연금 | 9.12% | | 건강보험 | 7.09% | | 고용보험 | 0.65% | | 산재보험 | 2.88% |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국민의 노후생활을 안정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시행되는 제도입니다. 국민연금은 크게 노령연금, 장애연금, 사망연금으로 나뉩니다.

    2024년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9.12%**입니다. 이는 직장 가입자의 경우 사용자 부담 4.56%, **근로자 부담 4.56%**로 구성됩니다.

    건강보험

    건강보험은 국민의 질병, 부상, 사망 등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시행되는 제도입니다. 건강보험은 크게 급여, 장기요양보험, 건강증진사업으로 나뉩니다.

    2024년 건강보험 보험료율은 **7.09%**입니다. 이는 직장 가입자의 경우 사용자 부담 3.545%, **근로자 부담 3.545%**로 구성됩니다.

    고용보험

    고용보험은 근로자의 실업, 휴업, 출산, 육아, 직업능력 개발 등의 사유로 발생하는 소득 감소를 보전하기 위해 시행되는 제도입니다. 고용보험은 크게 실업급여,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유지지원금 등으로 나뉩니다.

    2024년 고용보험 보험료율은 **0.65%**입니다. 이는 직장 가입자의 경우 사용자 부담 0.325%, **근로자 부담 0.325%**로 구성됩니다.

    산재보험

    산재보험은 근로자가 업무상 재해를 입었을 때, 그 재해로 인한 근로자의 경제적 손실을 보전하고, 재해 예방을 위해 시행되는 제도입니다. 산재보험은 크게 요양급여, 휴업급여, 장해급여, 유족급여 등으로 나뉩니다.

    2024년 산재보험 보험료율은 **2.88%**입니다. 이는 사용자 부담으로만 이루어집니다.

    4대보험요율에 대한 궁금증 Q&A

    Q. 4대보험요율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A. 4대보험요율은 매년 국회에서 심의·의결하여 결정됩니다. 보험료율 결정 시에는 재정 상황, 경제 상황, 사회보장제도의 발전 방향 등을 고려합니다.

    Q. 4대보험요율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A. 4대보험요율은 매년 7월 1일부터 다음 해 6월 30일까지 적용됩니다.

    Q. 4대보험요율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A. 4대보험요율은 보험료 부과 대상의 기준보수월액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기준보수월액은 매년 고용노동부에서 고시합니다.

    반응형